전주사무처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주영화제작소(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

COPYRIGHT ©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LL RIGHTS RESERVED

로고

이전 이후
25th
코리안시네마: 세월호 참사 10주기 특별전
목화솜 피는 날
When We Bloom Again
감독_ 신경수
SHIN Kyoung-soo
Korea 2024 91min DCP Color 장편 Fiction
Review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10년이 흘렀지만 그동안 수많은 다큐멘터리가 만들어진 데 비해 극영화는 손에 꼽을 만큼 적다. 아무래도 극화를 통해 이야기를 만들어내기에는 너무 부담스러운 소재로 여겨지는 탓이리라. <목화솜 피는 날>은 그동안 사회적 다큐멘터리를 만들어왔던 창작집단 연분홍치마가 제작한 첫 극영화라는 의미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4.16참사가족협의회가 공동 제작 주체로 참여했다는 데 더욱 큰 뜻을 둘 수 있다. 이야기를 끌고 가는 인물은 경은이를 세월호에서 잃은 아버지 병호와 어머니 수현이다. 그 누구보다 앞에 서서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외쳤던 병호는 기나긴 싸움 속에서 지치며 성질 급한 사람으로 변해갔고 어느날 쓰러지면서 기억까지 잃게 된다. 아내 수현 또한 가뜩이나 힘겨운 와중에 곳곳에서 사고 치고 다니는 남편을 감당하기 어려워진다. <목화솜 피는 날>은 유가족과 활동가들의 내밀한 이야기를 통해 그날의 상처가 치유되지 못한 채 응어리져 남아있음을 보여준다. 여전히 마음이 세월호 안에 갇혀있는 병호는 모든 세월호 유가족을 대변하는 존재인지도 모른다. 동시에 이 영화는 목화꽃이 펑 터지듯 피어나는 것처럼, 희생된 아이들이 어디선가 다시 피어나기를 바라는 마음 또한 담고 있다. (문석)

CREDIT
  • DirectorSHIN Kyoung-soo
  • ProducerLEE Jiyoon, PARK Sangjin, SHIN Minchul, PARK Mikyung
  • ScreenplayGU Duri
  • CinematographyKIM Jongyoon,KIM Hongmok, LIM Jihoon, JANG Minjae
  • GafferLEE Joosung, LEE Joowon, KIM Woojin, LEE Junsu
  • Production DesignPARK Sanghun, KIM Yiseul
  • MusicLEE Kwanghee[Grandslam Music]
  • EditorKIM Taeyoung
  • SoundPYO Yongsoo
CastPARK Wonsang, WOO Mihwa, CHOI Deokmoon, JO Heebong
DIRECTOR
신경수SHIN Kyoung-soo
1977년 대한민국 태생. 대표작 SBS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2016)을 포함해 8편의 드라마를 연출했다.
대표번호

1899-5433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주사무처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전주영화제작소(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