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사무처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주영화제작소(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

COPYRIGHT ©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LL RIGHTS RESERVED

로고

이전 이후
25th
코리안시네마
조선인 여공의 노래
A Song of Korean Factory Girls
감독_ 이원식
LEE Won-sik
Korea 2024 84min DCP Color/B&W 장편 Documentary
Review

<조선인 여공의 노래>를 보는 마음은 애달프다. 일제 시대 당시, 먹고 살기 위해서 또는 일본인 모집인에 속아서 일본 오사카 방적공장에서 취업했던 소녀 22명의 증언을 담은 이 다큐멘터리에는 고난과 차별과 학대의 역사가 서려 있다. 이 영화는 이 소녀들의 증언을 ‘호루몬’(ホルモン), ‘소녀들', ‘조선의 돼지들', ‘붉은 벽돌 담장' 같은 소주제로 엮어 들려준다. 막연하게나마 그들이 고생했을 것이라 예상했음에도, 세세하고 구체적인 증언을 듣노라면 민족적 차별과 젠더적 차별이라는 이중의 고통을 겪었던 어린 소녀들의 처지가 가엾게 느껴진다. 12살 나이에도 밤을 새워가며 실을 지었고, 먹을 게 없어 소, 돼지 내장을 구워 먹었으며, 돼지라 불리며 무시당했고, 공장 바깥으로 나가지도 못했던, 그리고 성폭력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던 삶은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녀들은 스스로 한글을 익혀 편지를 쓰고 읽었고 부당한 처우에 항의해 대규모 쟁의를 일으키기도 했다. 결국 조선인 여공들의 삶은 피해의 역사만이 아니라 당당한 역사이기도 했다. 강하나 등 재일 교포 배우들이 소녀들의 증언을 대신 읽고 삶을 재연해 생생함을 보탠다. 월드시네마 부문에서 상영하는 김성웅 감독의 <아리랑 랩소디>나 일제시대 영등포에서 일하던 여성들을 다루는 <여공의 밤>(2023) 같은 다큐멘터리와 비교하며 봐도 의미 있을 것이다. (문석)

CREDIT
  • DirectorLEE Won-sik
  • ProducerJUNG Jin-mi
  • CinematographyLEE Jung-min
  • GafferLEE Jung-min
  • MusicKunhee Avery LEE
  • EditorKO Bong-gon
CastKANG Ha-na, HIGUCHI Youichi, SHIN Nam-sook, KIM Sun-ja
DIRECTOR
이원식LEE Won-sik
한국영화아카데미를 졸업했다. 첫 장편 연출작인 <누나>(2012)는 2013 몬트리올국제영화제에 초청되었다. 장편 <베데스다 인 제팬>(2019), <북쪽에서 온 여행자>(2012) 등을 연출했다.
전주사무처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주영화제작소(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