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사무처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주영화제작소(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
기억을 구성하는 요소는 냄새, 소리(음악)도 있지만 결국 유발된 기억들이 되새기는 것은 주로 시간과 공간이다. 당시의 계절감, 옷차림, 하늘의 색감, 사건이 일어나던 순간의 배경을 기초로 한다. 이런 기억들이 우리에게 소중한 것은 삶의 이야기를 품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시간과 공간이 이루는 이야기라는 면에서 영화는 기억에 가장 가까운 예술이다. <미망>은 삶의 어느 순간 우연히 만나는 여자와 남자의 관계를 그린다. 이들이 만나고 걷고 헤어지는 곳은 주로 서울의 중심부로 가장 오래된 것들을 보관하고 그것을 삶의 터전으로 삼는 을지로, 광화문이다. 등장인물들은 도시의 상징적인 동상과 건물 등에 대한 이야기를 반복하지만, 이들이 지목하는 것은 역사 그 자체가 아니며, 그 이야기를 통해 형성되는 추억과 묘한 감정들로, 그런 개인의 기억이 건조한 도시에 색을 입힌다. 단편으로 시작했던 영화를 여러 상황으로 4년 동안 조금씩 완성해 가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자연스럽게 묵혀진 시간의 존재감이 영화의 무게감을 더했다. (문성경)
1899-5433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