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사무처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주영화제작소(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
<다이어리(1971~1976)>은 1인칭 영화의 선구적 작품으로, 많은 이들이 시도했으나 성공한 이는 적은 대담한 실험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하버드필름아카이브는 에드 핀커스 감독의 가까운 동료였던 로스 맥켈위 감독과 협의해 오리지널 16mm 필름을 복원했다. “사람들이 사람들과 관계하는 방식이 격변하는 시기였어요. 모든 것이 말입니다. 또 영화 제작 기술이 진화하면서 처음으로 1인 촬영이 가능해졌어요. 한 명의 제작진이 늘어나는 비용의 부담 없이 오랜 기간에 걸쳐 친밀한 관계를 촬영할 수 있다는 뜻이죠. 저는 실험을 해 보기로 했어요. 5년에 걸쳐 촬영하되 영상은 보지 않고 5년 동안 놔둔 뒤 편집하기로 했죠. 편집은 카메라에 찍힌 대로 하고요(‘러시 필름’). 인간관계의 멋진 신세계에서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라는 페미니스트 슬로건을 시험해 보고 싶었습니다.” (에드 핀커스)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