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사무처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주영화제작소(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
<45년 후>(2015)로 잘 알려진 앤드루 헤이그가 널리 평판을 얻은 윌리 블라우틴의 소설을 각색하여 연출했다. 편부 슬하에 자란 찰리의 일상은 고독하다. 아버지는 살가운 성격이 아닌 데다가 제 한 몸 건사하기도 빠듯하다. 조깅을 하던 중에 찰리는 말 조련사이자 중개상인 델을 만난다. 델은 말을 돌보고 조련하는 일을 제안하고, 찰리는 그곳에서 만난 경주마 ‘피트’라는 말에게 애정을 느낀다. 하지만 어느 날 피트가 팔려간다는 사실을 안 찰리는 피트를 사서 그들의 안식처를 찾아 떠난다. <린 온 피트>는 소년과 경주마의 애착 관계를 통해 사랑과 외로움, 가족, 우정을 이야기한다. 이런 계열의 휴먼 드라마가 동물을 도구로 삼아 인간의 문제를 이야기하는 반면, 이 영화는 동등한 수준에 인간과 동물의 교감을 다룬다. 전작들에서처럼 앤드루 헤이그는 멜랑콜리와 낙관주의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 한다. 섬광처럼 아름다운 만남과 가혹한 이별은 그리 낙관적이지도, 암울하지도 않은 인생의 의미를 깨친다. [장병원]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