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사무처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주영화제작소(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

COPYRIGHT ©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LL RIGHTS RESERVED

로고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제5회 전주국제영화제

개최 일정 : 2004년 4월 23일 ~ 5월 2일, 10일간
슬로건 : 자유, 독립, 소통
행사공간 : 전북대 삼성문화회관을 비롯한 총 7개관
상영작 규모 : 30개국 286편
- 개막작 : [ 가능한 변화들 ](민병국 / 대한민국)
- 폐막작 : [ 노벰버 ](아체로 마냐스 / 스페인)

수상작
인디비전
  • 대상

    두 생각 사이의 침묵 (감독 바박 파야미)

  • 특별언급

    민 (감독 호 유항)

디지털 스펙트럼
  • 디지털 모험상

    스위트 하바나 (감독 페르난도 페레즈)

  • 특별언급

    성적 종속 (감독 로드리고 벨롯)

특별부문
  • JIFF 최고인기상 (관객상)

    커피와 담배 (감독 짐 자무쉬)

심사위원
  • 인디비전
  • 디지털 스펙트럼
이광모
LEE KWANG-MO
고려대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CLA 대학원에서 영화연출을 전공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영화학과를 교수 역임했으며 현재 ㈜백두대간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다. 1998년에는 영화 <아름다운 시절>을 연출하여 동경영화제 ´금상´, 대종상 ´최우수작품상´, ´최우수감독상´ 등을 수상하고 칸영화제 "감독주간"에 초청된 바 있다.
테레자 브테츠코바
TEREZA BRDE?K
1957년 프라하에서 태어난 테레자 브제츠코바 감독은 프라하 영화 학교에서 영화를 공부하였다. 감독은 18세에 영화에 관한 글쓰기를 시작하였고, 1995년 체코 ´최우수 저널리스트 작품상´을 수상한 바 있다. 감독은 칸, 베를린, 베니스 등의 영화제에서 국제영화비평가연맹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1992년에는 카를로비 바리 영화제의 예술감독을 역임했다. 1999년부터 한국영화를 정기적으로 소개하고 있는 페비오페스트 영화제의 선임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소설가와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 중이다.
유키코 시이
YUKIKO SHII
1957년 일본 미야자키 현에서 출생했다. 1991년 사카모토 준지 감독의 영화 <장기왕>으로 프로듀서로서의 활동을 시작했다. 그 때부터 사카모토 준지 감독의 <코가레브>(1994), <얼굴>(2000), (2002), 소마이 신지 감독의 <바람꽃>(2000)등의 작품에서 활동했으며, 최근에는 사카모토 준지 감독의 신작 <세상밖으로>에서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대표번호

1899-5433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주사무처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전주영화제작소(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