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사무처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주영화제작소(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

COPYRIGHT ©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LL RIGHTS RESERVED

로고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안시네마 선정작 발표
2025-03-27 11:00:00Hits 2,259

Press Release 32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안시네마 선정작 발표
- 코리안시네마 장편 20편·단편 18편으로 총 38편 상영, 역대 최대치
- 다채로운 소재의 다큐멘터리 눈길, 과감하고 실험적인 시도를 한 작품들도 다수
- 배우 출신 감독들부터 전주국제영화제를 다시 찾은 중견감독들까지 총출동
전주국제영화제(공동집행위원장 민성욱·정준호)가 코리안시네마 선정작을 공개했다.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안시네마 상영작은 총 38편(장편 20편·단편 18편)으로 어느 해보다 많으며, 진입 경쟁도 매우 치열했다. 전반적으로 질적 수준이 높은 작품들이 전주국제영화제를 찾았기 때문이다. 양적으로도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약 3개월간 진행된 공모에서 비경쟁부문(장편) 출품작은 114편으로 지난해 88편 출품 대비 26편이나 증가했다.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안시네마 섹션은 장르의 구분 없이 코리아 프리미어(국내 최초 상영) 또는 그 이상의 프리미어 조건을 갖춘 작품들로 구성되며, 국내 독립 예술 영화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지난해 코리안시네마를 거쳐 간 <목소리들>(2024), <조선인 여공의 노래>(2024), <여름이 지나가면>(2024) 등은 여러 영화제와 극장에서 그 작품성을 입증받고 있다.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안시네마 장편 선정작 (가나다 순)

올해 코리안시네마에서는 예년보다 소재가 더욱 다채로워진 6편의 다큐멘터리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광복 80주년을 맞는 올해, 2편의 다큐멘터리가 한일문제를 다루고 있다. 임흥순 감독의 <기억 샤워 바다>는 항일운동가의 자손이자 제주 4·3 사건 당시 연락책이었던 김동일과 그의 옷을 소재로 관동대지진 속 일본에 의해 행해진 한국인 학살 등의 아픈 역사를 담고 있다. 재일동포 김이향 감독의 <이방인의 텃밭>은 재일동포의 정체성에 관해 내밀하게 이야기한다.

인류가 동물과 소수자를 인식하는 태도에 질문을 던지는 김화용 감독의 <집에 살던 새는 모두 어디로 갔을까>, 페미니즘 미술을 개척한 한국 대표 미술가 윤석남 작가의 이야기를 담아낸 윤한석 감독의 <핑크문>, 발달장애인 오케스트라 하트하트오케스트라에 관한 서한솔 감독의 <하트 투 하트> 등 다양한 소재의 다큐멘터리들도 관객과 만날 예정이다.

한국경쟁과 한국단편경쟁에서도 강세를 보였던 LGBTQ 소재는 코리안시네마에서도 역시 돋보인다. 20년 간 성적소수문화 인권연대 단체 ‘연분홍치마’에서 활동해온 김일란 감독의 새 다큐멘터리 <에디 앨리스>는 남성으로 태어나 여성으로서의 삶을 선택한 에디와 앨리스라는 두 인물을 조명한다.

극영화 중에서는 김조광수 감독의 멜로 감성 다분한 드라마 <꿈을 꾸었다 말해요>와 가족 구성원들이 각자 간직하던 비밀이 드러나는 이야기인 김대환 감독의 <비밀일 수밖에>가 LGBTQ 소재를 담고 있다.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안시네마 단편 선정작 (가나다 순)

지난 19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단편경쟁에서 <병훈의 하루>를 선보인 이희준 배우의 첫 장편 연출작인 <직사각형, 삼각형>과 <인서트>(2024), <다섯 번째 흉추>(2022) 등 독립영화를 통해 이름을 알린 문혜인 배우의 첫 장편 연출작 <삼희: The Adventure of 3 Joys>, 전주국제영화제 올해의 프로그래머인 이정현 배우의 첫 연출작인 단편영화 <꽃놀이 간다> 등 배우 겸 감독들의 연출작도 다수 상영된다.

세월호 참사 당시 잠수사로 활동한 고 김관홍씨의 삶을 다룬 <바다호랑이>는 <말아톤>(2005), <대립군>(2017) 등의 정윤철 감독의 신작이다. 다큐멘터리 <안녕, 할부지>(2024) 심형준 감독의 <클리어>는 가수이자 배우로 활동 중인 김푸름이 주연을 맡은 다큐픽션으로, 환경의 소중함을 다루고 있다.

눈에 띄는 반가운 이름들은 전주국제영화제를 꾸준히 찾아온 ‘단골’ 감독들이다. 고봉수 감독은 특유의 유머와 달콤쌉싸름한 감성이 두드러지는 <귤레귤레>로, 최창환 감독은 항공기 불시착으로 갑작스럽게 레이오버 호텔에서 하루를 보내게 된 인물들의 이야기를 담은 <레이오버 호텔>로 다시 전주를 찾았다. 8년 만에 돌아온 김대환 감독은 신작 <비밀일 수밖에>로, 두 차례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대상을 받았던 신동민 감독도 새 단편영화 <Dogs in the Sun>로 올해 전주에서 관객과 다시 만난다.

17회와 18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단편경쟁부문에 초청됐던 백종관 감독의 신작 <시련과 입문>, 지난해 <땅거미>(2024)로 한국단편경쟁 심사위원특별상을 받은 박세영 감독의 <저 구석 자리로 주세요>, 전주시네마프로젝트 지원작 <철의 꿈>(2014)으로 2014년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입상한 박경근 감독의 <백현진쑈 문명의 끝> 등 과감하고 실험적인 시도를 보여주는 영화들도 관객을 기다리고 있다. 차정윤 감독의 장편 데뷔작 <만남의 집>, 한지수 감독의 <맨홀> 등 신진 감독들의 작품도 주목받을 만하다.

넓은 스펙트럼의 코리안시네마 상영작들은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는 2025년 4월 30일(수)부터 5월 9일(금)까지 전주 영화의거리를 비롯한 전주시 일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안시네마 장편 상영작
가나다 순
작품명 감독 장르
<귤레귤레>
Güle-Güle
고봉수
KO Bong-soo
극영화
<기억 샤워 바다>
Memories Showers Seas
임흥순
IM Heung-soon
다큐멘터리
<꿈을 꾸었다 말해요>
Tell Me That You Love Me
김조광수
KIM JHO Gwang-soo
극영화
<레이오버 호텔>
Layover Hotel
최창환
CHOI Changhwan
극영화
<만남의 집>
Home Behind Bars
차정윤
CHA Jeong-yoon
극영화
<맨홀>
Hideaway
한지수
HAN Jisu
극영화
<바다호랑이>
SEA TIGER
정윤철
CHUNG Yoonchul
극영화
<백현진쑈 문명의 끝>
The Bek Show End of Civilization
박경근
Kelvin Kyung Kun PARK
실험영화
<비밀일 수밖에>
HOMEWARD BOUND
김대환
KIM Dae-hwan
극영화
<빈집의 연인들>
The Burglars
김태휘
KIM Taehwi
극영화
<삼희 : The Adventure of 3 Joys>
Sam-hee : The Adventure of 3 Joys
문혜인
MOON Hyein
극영화
<시련과 입문>
Trials and Initiation
백종관
PAIK Jongkwan
실험영화
<에디 앨리스>
Edhi Alice
김일란
KIM Ilrhan
다큐멘터리
<이방인의 텃밭>
Shiso
김이향
KIM Rihyang
다큐멘터리
<저 구석 자리로 주세요>
I'd like that corner seat over there
박세영
PARK Syeyoung
실험영화
<직사각형, 삼각형>
Rectangle, Triangle
이희준
LEE Heejun
극영화
<집에 살던 새는 모두 어디로 갔을까>
The Birds Who Lived Home - Where Did You All Go?
김화용
KIM Hwayong
다큐멘터리
<핑크문>
Pink Moon
윤한석
YOON Han-seok
다큐멘터리
<클리어>
CLEAR
심형준
SHIM Hyeongjun
극영화
<하트 투 하트>
Heart to Heart
서한솔
SEO Hansol
다큐멘터리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안시네마 단편 상영작
가나다 순
작품명 감독 장르
<갈비>
Galbi
송에스더, 임연주
SONG Esther, LIM Yeonju
극영화
<기사님>
Mr. Driver
류기산
RYU Keesan
극영화
<꽃놀이 간다>
Toe-Tapping Tunes
이정현
LEE Jung-hyun
극영화
<땜>
The Roots
소지인
SO Ji-in
극영화
<목인>
Treeman
이명륜
LEE Myeonglyun
극영화
<미조>
The Wayward Bird
이승재
LEE Seungjae
극영화
<산행>
UNDERCURRENT
이루리
LEE Ru-ri
극영화
<살아나>
Live after Death
김태휘
KIM Taehwi
극영화
<송주의 시>
POEM OF SONGJU
김시언
KIM Sieon
극영화
<울며 여짜오되>
I told you
남서정
NAM Seojeong
극영화
<움벨트>
Umwelt
임세영
LIM Seyoung
극영화
<임계>
Liminality
권희수
KWON Heesue
실험영화
<자궁메이트>
Womb Mates
노희정
NOH Heejeong
극영화
<추락한 개>
The Fallen Dog
정현석
JEONG Hyunseok
극영화
<횡단보도 위 윤영>
On the Crosswalk
이지향
LEE Jihyang
극영화
<Dogs in the Sun>
Dogs in the Sun
신동민
SHIN Dong-min
다큐멘터리
<God complex>
God complex
김은성
KIM Eun-seong
극영화
<Lesson>
Lesson
김진우
KIM Jinwoo
극영화


DOWNLOAD
기사자료 사진자료 포스터
LAST PRESS

대표번호

1899-5433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주사무처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전주영화제작소(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