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사무처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주영화제작소(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
감독은 수행의 단계를 열 장의 그림으로 표현한 불교의 십우도(十牛圖) 를 모티브로 한 열 편의 연작을 제작 중에 있다. 농사짓기와 어머니의 죽음의 과정을 통해 생로병사의 시간을 경험케 했던 <십우도1- 심우: 소를 찾아서>(2004), 그녀 혹은 그에 대한 기다림을 매개로 삶에 대한 단상을 선보였던 <십우도2- 견적>(2005), 티벳으로의 순례와 그 길에서 만나는 자연과 인간을 모습을 침묵의 시선으로 전달한<십우도3- 견우: 티벳에서, 제망매가>(2007)에 이어 그 네 번째 작품이 도착하였다. 그간 이 연작을 통해 영화 찍기와 살아가기의 등치적 관계를 일구어가며 소소한 모티브로 담담하면서도 깊이감 있는 영화적 풍경을 줄곧 선보여온 그는, 이번에도 역시 ´두 모과´의 경로를 통해 생의 시간에 대한 질문을 던져 놓는다. 한 나무에서 나고 자란 두 개의 모과가 서울과 시골로 소재가 갈리면서 운명을 달리한다. 그 엇갈린 운명의 여정에 대한 언표적 기술과 정물화의 구도로 존재하는 이미지들을 통해 득우(得牛), 즉 ´소를 잡다´라는 깨달음의 의미를 구하고자 하는 질문이 던져진다. 그리고 그 언술과 언술 사이, 이미지와 이미지 사이에 놓이는 질문의 노정이 단출한 영화의 모습으로 다가와 여유로운 상념의 공간을 열어주게 된다. 시리도록 하얀 눈밭의 진노란 모과와 솟대의 붉은 천이 고운 영화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